728x90
kubeadm setup 순서
1. 다중시스템 or 다중VM 프로비저닝 --> 마스터(컨트롤플레인)/워커 노드 지정
2. 모든 노드에 컨테이너런타임(containerd), kubeadm 설치
3. 마스터 노드 초기화
4. Pod 네트워크 구성(네트워크 플러그인 설치)
5.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연결
VirtualBox로 VM 구성 후 Vagrant로 VM 스핀업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kodekloudhub/certified-kubernetes-administrator-course
cd certified-kubernetes-administrator-course
vi Vagrantfile
vagrant status
vagrant up
vagrant ssh kubemaster
ls -la
logout
vagrant ssh kubenode01
logout
vagrant ssh kubenode02
cat /etc/*-release
kubeadm 설치
containerd 설치 - cgroupfs or systemd설치(kubelet과 containerd 설정 동일해야 함 - 노드에서 "ps -p 1"로 확인하여 동일한 걸로 선택)
CNI 설치
노드 연결
728x90
반응형
'데브옵스 > Orchestr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bernetes] 69. JSON path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Kubernetes] 68. Troubleshooting (0) | 2025.01.08 |
[Kubernetes] 66. Design a Cluster (0) | 2025.01.08 |
[Kubernetes] 65. Ingress (0) | 2025.01.08 |
[Kubernetes] 64. DNS, CoreDNS (0) | 2025.01.08 |